• 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동북아관광학회
  • 편집위원회
  • 논문투고안내
  • 논문심사규정
  • 연구윤리규정
  • 논문자료실
논문심사규정

논문심사규정

 

◆ 논문심사규정 ◆
1. 이 규정은 “동북아 관광연구(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지에 게재하고자 하는 연구논문 (research article)에 한하여 적용한다.

2. 편집위원회는 접수된 논문 원고를 심사에 적합한 3명의 심사위원 (회원 또는 비회원)에게 심사를 위촉하며 심사위원 및 필자에 대한 성명과 소속은 익명으로 한다.

3. 심사위원은 편집위원회를 중계로 하여 투고필자와 의견교환을 할 수 있다.

4. 논문은 다음과 같은 영역에 대하여 5가지 평가항목(각 5점 척도)으로 평가한다.

  매우미흡   보통   매우우수
연구주제 및 내용의 창의성 1 2 3 4 5
내용 전개의 과학성 1 2 3 4 5
연구방법의 타당성 1 2 3 4 5
결론 도출의 타당성 1 2 3 4 5
이론과 실무분야의 기여도 1 2 3 4 5

5. 논문심사의 판정은 ① 무수정 게재가, ② 소폭 수정후 게재가, ③ 중폭 수정후 게재가, ④ 수정후 재심, ⑤ 게재 불가 중 하나로 판정하며, 최종 판정에 대한 이의제기는 인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①-⑤항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무수정 게재가’란 전반적인 내용이 수정할 필요가 없는 완전한 논문을 뜻한다. 다만 용어 등의 극히 미약한 실수로 간단히 문맥을 고칠 수 있거나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는 논문을 말한다.
② ‘소폭 수정후 게재가’란 연구방법, 분석내용, 결론 등에 다소의 잘못이 발견되어 약간의 노력으로 완전한 형태가 될 수 있는 논문이나 방법 및 내용상의 하자는 없다고 할지라도 문장 표형상의 잘못이 많이 발견되고 있는 논문을 말한다.
③ ‘중폭 수정후 게재가’란 연구문제, 가설, 연구방법, 결과 해석상 단시간에 고칠수 없는 적지 않은 오류가 발견되어 장시간 동안의 수정 노력을 요하는 논문으로 수정후 편집위원회의 정밀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논문의 경우를 말한다.
④ ‘수정후 재심’란 연구문제, 가설, 연구방법상 꽤 중대한 오류(예: 표본 추출상 중대한 과오, 연구기법상 중대한 과오로 연구 모형을 새로이 구성․추정해야 하는 경우, 논리 전개상 심각한 모순이 있는 경우 등)가 발견되어 투고자가 최선을 다해 수정하면 게재가 가능한 논문에 대한 판정을 의미한다.
⑤ ‘게재 불가’란 연구문제, 가설, 연구방법상 치명적인 오류가 발견되어 본인의 수정 노력에 관계없이 본 학회의 학문적 시준에 맞지 않는 혹은 학회지의 품위를 손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논문을 말한다.
6. 심사를 맡은 심사위원이 “게재 불가” 또는 “수정 후 재심” 판정을 할 경우에는 심사의견서에 그에 상당한 이유와 설명을 첨부해야 한다.
7. 심사위원들의 판정을 토대로 편집위원회는 여러 경우에 대하여 별도의 논문게재 판정표를 정하고 그에 따라 판정한다.
8. 게재가 확정된 논문이라도 다음의 경우에는 게재를 보류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① 본 학회지가 정한 “연구논문 작성요령”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② 본 학회가 정한 소정의 심사료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9. 게재확정논문의 게재우선 순위는 학술대회 참가자 가산점 제도 및 편집위원회 방침에 준한다.
10. 편집위원회는 이의 접수 후 2개월 이내에 필자에게 게재여부 및 그 사유를 통보해야 한다.
11. 편집위원회는 원고 중 편집상 불가피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에 대해 필자에게 수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필자는 이에 응해야 한다.
12. 논문심사결과 수정후 게재가의 판정을 받은 자는 심사위원이 첨부한 논문심사보고서(심사소견서)를 바탕으로 논문을 수정한 후 편집위원회에서 정한 기일 내에 수정결과보고서와 논문 수정본을 E-mail로 반드시 제출하여야 한다. 단, 심사위원의 심사소견서에 대한 이의제기는 이에 상당하는 합당한 사유를 첨부해야 하며, 편집위원회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2차 논문심사를 진행해야한다.

예시) 수정경과 보고서
논문제목:
논문저자 소속:
구분 심사위원 지적 투고자수정사항 비고
제1      
제2      
제3      

13. 논문을 심사하는 심사위원에게는 본 학회가 정한 소정의 심사료를 지불한다.
◆ 원고 접수처(현재 동북아관광학회 편집위원장의 주소) ◆
우편번호: 614-71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995번지 동의대학교 상경대학 호텔․컨벤션경영학과
편집위원장 유 형숙 교수
               H.P: 010-9822-9749
               TEL: 051-890-2086 Fax: 051-890-2389
편집간사 김 미정 E-mail: [email protected]
송금계좌: 우체국 : 601047-01-003911 (예금주: 동북아관광연구 편집위원장)
위로가기
◆ 논문작성규정 ◆
본 학회지는 매년 4회 (2월 28일, 5월 30일, 8월 30일, 11월 30일) 발간함을 원칙으로 하며 원고는 수시로 접수한다.
1) 투고 시 유의사항
(1) 투고원고 내용은 동북아시아의 관광․여가․위락․호텔․외식과 관련된 논문으로서, 다른 학술지 등에 발표되지 아니하거나 유사하지 아니한 것이어야 하며, 또한 학위논문의 경우, 동일내용이 아닌 내용적 개선이 이루어진 논문이어야 한다.
(2) 투고원고는 심사 후 편집위원회의 편집방침에 따라 게재된다.
(3) 본 학회의 투고규정 및 논문작성규정을 엄수해야 하며, 이를 지키지 않을 시에는 양식에 맞추어 제출될 때까지 심사가 보류된다.
2) 투고원고 편집양식
(1) 원고는 반드시 아래 편집양식에 의거하여 글 HWP 97이상과 MS Word로 작성하여 이메일로 접수해야 한다.
(2) 논문 첫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에는 논문제목, 20줄 미만의 초록(Abstract), 주제어(Keywords)와 투고자의 성명․소속 및 직위, e-mail 주소를 본문언어와 영어로 기재하여야 한다.
(3) 2페이지부터 논문의 본문을 시작하고 제한 매수 20쪽(가능한 짝수 매수)으로 한정한다.

◆ 사용어 및 표기 ◆
1) 원고는 전문용어 또는 오기할 염려가 있는 경우 이외에는 가급적 국문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학술용어․인명․지명 등은 한자로 쓸 수 있으며, 국문용어 뒤에 원어를 밝힌 경우는 처음 한 번에 한하여 ( ) 속에 넣도록 한다. 외국의 인명 및 지명은 원어대로 표기한다.

3) 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한다.
    Ⅰ. II. III
      1. 2. 3.
        1) 2) 3)
         (1) (2) (3)
           ① ② ③
◆ 그림 및 표 (도표)의 양식 ◆
1) 도표는 나오는 순서대로 일련번호로 표기하며(예: <그림 1> 참조), 표의 번호와 제목은 표의 위에, 그림의 번호와 제목은 그림의 아래에 표시한다. 원단위 (예: (단위: 천명))는 표 상단 최우측에 표시한다.

2) 표를 작성할 때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로줄만을 사용한다.

3) 표 및 그림은 반드시 출처 (sources)를 밝힌다.
 
<표1> 시험문제 난이도에 따른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의 오차
난이도 남자 여자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평균 표준편차 표본수
초급 15 .08 12 14 .06 16
중급 15 .07 15 13 .09 12
고급 16 .09 18 12 .11 16
          자료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인용 및 참고문헌 ◆
1) 본문 중에서 주와 참고문헌은 구분하여 표기한다.
가. 주는 본문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사용하며, 우측 어깨에 일련번호를 적고 그 설명을 해당 페이지 하단에 기록한다.
예) . . . .를 생태관광이라 한다. 1)
나. 참고문헌 표시는 본문 중에서 저자명과 연도, 그리고 국내문헌은 가나다 순으로, 외국문헌은 ABC 순으로, 그리고 한글과 영문 순으로 기입한다.
예) ...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손영호, 2001; 오성익, 2003; McDonald, 2000; Sriranka, 2002).
It is suggested that . . . (Assim, 1999; Bagogi, 2003; Pizam, 2000).
 
2) 주는 해당 페이지 하단에, 참고문헌은 본문 말미에 첨부한다.
가. 주 목록은 일련번호 순으로 반괄호 번호로 표시한다.
나. 참고문헌은 국내문헌 (가나다순), 외국문헌 (ABC 순)의 순서에 따라 정리하여 첨부하며 이에 대한 표기는 다음의 형식을 따른다.
(1) 단행본의 경우: 필자(발간연도). 도서명. 출판지: 출판사.
예) Gale, B. (1994).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New York, N. Y.: The Free Press.
김상조(2001). 신관광마케팅의 이해(개정 3판). 서울: 박영사.
(2) 정기간행 학술지의 경우: 필자(간행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호), 인용면
예) Riley, L. & Love, L.(2003). The state of tourist satisfac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3), 235-256.
김상헌(2003). 우리나라 관광학술지의 성향분석. Tourism Research, 17(2), 124-134.
(3) 학술회의(학술대회,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의 경우
예) 이보희(2003, 6월). 관광자원의 평가방법.동북아관광학회 제4차 국제학술대회, 350-372.
(4) 번역서의 경우
예) 컬린저, F. N. (1999). 행동과학의 기초 [Kerlinger, F. N., Foundation of behavioral sciences] (김화수․이동희 역). 서울: 성원사.
(5) 보고서의 경우
예) 한국관광공사(1999). 국민해외여행 실태조사 (보고서 99-2).
(6) 학위논문의 경우
예) 저자(학위 취득년도), 논문제목, 대학명, 과정명, 학위명

위로가기

◆ 편집양식 ◆
1) 용지형식 : A4(210×297)
2) 용지방향 : 좁게
3) 여백처리(mm) : 위쪽(42), 아래쪽(42), 왼쪽(35), 오른쪽(35), 머리말(10), 꼬리말(15), 제본(0)
4) 서체 및 스타일

 

  글꼴 장평 자간 크기 줄간격 왼쪽
여백
오른쪽
여백
들여
쓰기
내어
쓰기
정렬
방식
논문제목 HY
신명조
98 -3 13
진하게
160 0 0 0 0 가운데
영문제목 times New
Roman
100 -3 12
진하게
160 0 0 0 0 가운데
저자이름 HY
신명조

98 -3 1.5
보통
160 0 0 0 0 오른쪽
저자영문 times New
Roman
100 -3 10.5
보통
160 0 0 0 0 오른쪽
Abstract times New
Roman
100 -3 10.5
보통
160 0 0 0 0 양쪽
Keywords times New
Roman
100 -3 10.5
진하게
160 0 0 0 0 양쪽
본문 HY
신명조
98 -3 10.5
보통
160 0 0 10 0 양쪽
장제목 HY
신명조
98 -3 13
진하게
160 0 0 0 0 가운데
대제목 HY
신명조
98 -3 12
진하게
160 0 0 0 0 가운데
중제목 HY
신명조
98 -3 11
진하게
160 0 0 0 0 왼쪽
소제목 HY
신명조
98 -3 10.5
진하게
160 0 0 10 0 왼쪽
참고문헌 HY
신명조
98 -3 10.5
보통
160 0 0 0 30 양쪽
각주 HY
신명조
95 -5 9
보통
160 0 0 0 14.5 양쪽
머리말 HY
신명조
98 -3 9
보통
160 0 0 0 0 가운데
꼬리말 HY
견고딕
98 -3 9
보통
160 0 0 0 0 가운데
표제목 HY
신명조
98 -3 10.5
진하게
160 0 0 0 0 가운데

위로가기

          ※ 영문원고의 경우 times New Roman체를 기본으로 한다.
푸터정보